공과금 자동이체 설정 및 납부방법|통합납부앱 추천·수수료 비교까지 한눈에 정리

공과금 자동이체 설정 및 납부방법|통합납부앱 추천·수수료 비교까지 한눈에 정리

공과금은 매달 납부해야 하는 필수 고정지출입니다. 자동이체를 설정해두면 연체 없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통합납부앱을 활용하면 여러 청구서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이체 설정 방법과 추천 앱, 수수료 유무까지 실용적인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공과금 자동이체는 전기, 수도, 가스, 통신요금 등 반복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청구서에 대해 지정 계좌 또는 카드로 자동 납부되는 서비스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자동이체 설정 경로입니다.

  • 한전 전기요금: KEPCO+ 앱 / 한전 홈페이지
  • 수도요금: 각 지자체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 또는 전용 앱
  • 도시가스요금: 지역 도시가스사 앱 또는 오프라인 신청
  • 통신요금: SKT, KT, LGU+ 각사 앱에서 설정

여러 요금을 하나로 관리하고 싶다면 아래 통합납부앱을 활용해보세요.

앱 이름 지원 요금 수수료 비고
금결원 페이인포 전기, 수도, 가스 등 무료 자동이체 등록·해지 가능
카카오페이 통신, 전기, 일부 지자체 세금 대부분 무료 카카오 알림톡으로 납부일 안내
티머니페이 서울시 공공요금 중심 무료 교통카드 연동

납부 방식은 자동이체 외에도 계좌이체, 카드납부, 간편결제 등이 있으며, 일부 기관은 자동납부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단, 자동이체는 출금 계좌나 카드의 유효성 유지가 중요하며, 납부일 직전까지 잔액을 꼭 확인해야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